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9건)

김대현 -무등산 한시 111편
무등산한시선무등산에 대한 한시를 옛 문헌 속에서 찾아내어, 시대 순으로 편집하고 번역한 책이다. 우리나라 스물 두 번 째 국립공원인 무등산은 남쪽 지방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예로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탐방하고 있다.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의 시문집에서부터 현대 의재 허백련의 시문집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옛 문
고재화(高在華)
고재화(高在華, 1881~1948)의 본관은 장흥이다. 자는 성관(聖觀) 이고 호는 송곡(松谷) 이다. 남구 압촌동에 거주하였다.부 : 高光祿생부 : 高光壽조 : 高炳柱증조 : 高濟應외조 : 朴源國1929년 나도규羅燾圭 문인들의 소의계에 참여하였다.
고재련(高在鍊)
고재련(高在鍊, 1892~?)의 본관은 장흥이다. 자는 연술(鍊述) , 호는 후봉(後峰) 이다. 광주 니장동에 거주하였다.부 : 高光龍조 : 高榮柱증조 : 高濟鎰외조 : 李采柱처부1 : 金堯翊향교전교鄕校典敎를 지냈다. 1929년 나도규羅燾圭 문인들의 소의계契에 참여하였다.
고규상(高奎相)
고규상(高奎相, 1878~1959)의 본관은 장흥이며 자는 윤화(允和), 호는 덕봉(德峰) 이다. 남구 니장동에 거주하였다.부 : 高濟國조 : 高宜鎭증조 : 高時興외조 : 昌寧 曺처부1 : 李謙緖       1929년 나도규羅燾圭 문인들의 契에 참여하였다.
고광준(高光俊)
고광준(高光俊, 1853~1939)의 본관은 장흥이며 자는 치삼(致三), 호는 인암(忍菴) 이다. 남구 양과동에 거주했다.부 : 高儀相조 : 高濟憲증조 : 高厚民외조 : 朴齊莞처부1 : 尹柱興       1929년 나도규羅燾圭 문인들의 소의계昭義契에 참여하였다.
용진정사 湧珍精舍
광산구 본량동 서로 180-68   해발349m의 용진산 남쪽 깊숙한 골짜기에 자리한 용진정사는 한말의 대학자이며 우국지사이기도 한 후석 오준선(1851∼1931)이 국난과 세상의 티끌을 피해 숨어살면서 후진을 가르친 곳이다. 1985년 광주시 문화재 자료 제7호로 지정되었다.원래 용진사(湧珍寺 상원사)가 자리 잡았던 절
봉산정사 鳳山精舍 엄이재 掩耳齋
서구 용두동 산 79번지   서구 용두동 봉학마을 깊숙한 꽤 높은 곳 봉황산 가파른 중턱에는 한 지식인이 시대적 아픔에 어쩌지 못하고 읍궁암泣弓菴에서 울분을 삭히며 세상을 마감했던 유서 깊은 흔적이 있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30리의 거리인 봉황산에 위치해 있다.주변에 큰 은행나무가 자리하고 봉산
남덕정 覽德亭
남구 석정동 120   석정동 출신의 나주나씨 지재 나창을 선조로 1881년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1826-1885)가 건립한 휴양 겸 강학소인 초가이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마을 북쪽 길로 가다보면 왼쪽 모퉁이에 남덕정이 자리하고 있다. 현와 고광선 등에게 성리학과 도덕을 전수하여 수많은 인
나도규(羅燾圭)
나도규羅燾圭(1826~1885)의 본관은 나주이다. 자는 경문(敬文)이고 호는 덕암(德巖)이다. 당시 계촌면에 살았는데 오늘날 남구 석정동에 해당한다.부 : 羅禧集조 : 羅錫曾증조 : 羅弼殷처부1 : 李鉉臨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고 1880년 노사선생 襄禮 때 참석하였다.1880년 3월 25일에 奇陽衍에게 편지를 보냈다. 1883년 1
유치선선정비
광주시유치선(兪致善)은 1880~1883 광주목사로 재임했다.나도규의 <덕암집>에 비문이 실려 있다.
남호원선정비
광주시남호원(南鎬元)은 1875~1879에 광주목사로 재임했다.나도규의 <덕암집>에 비문이 실려 있다.
김재헌 선정비
광주시김재헌(⾦在獻) 선정비는 1856~1858 광주목사로 재임한 뒤 세워진 것이다. 김재헌은 본관이 광산이고 사계 김장생의 이손(⽿孫, 7대손)이라고 한다. 병진년(1856년)에 부임해 오자마자 향교 흥학전, 교량 수보전, 사창 진휼곡 등을 마련했다. 광주 사림들이 비석을 세울 것을 결의했는데, 이 비문 작성 시기는 재임 중
나도규-무등산
아스라히 떠 있는 티끌 산 기슭을 덮고 있고높이 솟은 기암괴석 산봉우리를 옹위하고 있네활달한 마음 열려 속마음을 얻으니가소롭다 시객(詩客)들아! 시짓는 일일랑 거두어라- 서석록(瑞石錄 德巖漫錄),
나도규-月小樓詩會 金侯在獻 以四韻要和敬次
‘월소루 시회에서 김재헌이 사운으로 화답하기를 청하여 삼가 이어서 짓다(月小樓詩會 金侯在獻 以四韻要和敬次)’登堂絲肉滿庭喧 당에 오르니 사육이 뜰에 떠들썩今日優逰屬藝垣 오늘 마침 예원에서 즐겁게 노니네三代儒冠高會席 삼대의 유관이 높게 자리에 모여서十分春色細傾鐏 흐드러진 봄빛에 술잔을 기울이네清歌酒後爲
나도규-製錦樓卽事 此篇於和金候六律中
製錦軒高坐 제금루 헌창에 곧게 앉으니天際滿斜陽 하늘 끝에 석양빛이 가득羽籥伶人奏 악공은 피리를 연주하고蟬衫小妓粧 얇은 옷 어린 기녀는 단장하네 月臺濃夜色 달빛 누대에 밤빛이 짙고蘭谷浥秋香 난초 골짝은 가을 향기에 젖었네媿我功名計 부끄럽다 나의 공명의 계책이여一生自傯忙 일생을 스스로 바쁘게만 보냈네
나도규-和東軒韻別柳參奉 名未詳(동헌의 시운에 화답하여 유참봉과 이별하다. 이름은 미상)
一生書釼客 일생을 서검으로 살아온 나그네自是惜流光 스스로 흐르는 세월이 아쉽구나詩語樽前好 시어는 술 단지 앞이라 좋고秋聲雨後長 가을 소리는 비온 뒤에 유장하다盛衰元有數 성쇠는 원래 운수가 있으니離合亦無傷 만남과 이별도 슬퍼할 것 없어라來日如今日 내일도 오늘과 같이淸遊更一床 맑은 놀이 마치고 함께 지새
읍궁암(눈물바위)의 푸른 이끼
서구 용두동 봉학마을에는 읍궁암泣弓巖이 있어요. 엄이재掩耳齎 뒤편에 있는 푸른 이끼가 낀 바위를 말합니다. 이 엄이재는 한말 유학자이자 깨어있는 지식인으로 평가받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 선생이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세상과의 인연을 끊고 봉황산鳳凰山에 들어가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
봉황산
서구 용두동과 남구 압촌동광주 무등산에서 서쪽으로 뻗어내린 산줄기는 수레바위산 - 소룡봉 - 분적산 - 금당산을 지나 화방산 - 송학산 - 봉황산 - 등룡산으로 이어지다가 승촌에서 영산강을 만나 끝을 맺는데 그중에 봉황산은 167.8m이다. 서창과 대촌의 중간에 있으면서 눌재로를 사이에 두고 송학산과 마주보는 산이다.
봉산사
광주시 서구 용두동 산 79번지서구 용두동 봉학마을 깊숙한 꽤 높은 곳 봉황산 가파른 중턱에 봉산사가 있었다. 이곳은 을사늑약 이후 어지러운 세상에 그만 ‘귀를 닫아버리고[掩耳]’ 싶었다고 해서 ‘가리다, 숨기다’의 엄(掩)자를 쓴 엄이재 띠집을 짓고 후학을 가르친 현와 고광선이 지낸 곳이다.주변 숲속에 읍궁암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